본문 바로가기

Algorithm

[Programmers] 키패드 누르기

문제 설명

문제 출처 👉 프로그래머스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2.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문제 요약 

문제를 단순히 해석하자면 핸드폰 키패드가 있고 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키패드를 누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때, 이 사람은 더 짧은 비용을 쓰고 키패드 숫자를 누르려고 할 때 왼손으로 누를 지, 오른손으로 누를 지 구하라는 문제입니다.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비용이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키패드의 1,4,7은 왼손, 3,6,9는 오른손 엄지를 누르고 2,5,8은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고 하네요.

 

문제 풀이

2020 카카오 인턴십 문제여서 굉장히 쫄고 문제를 읽기 시작했지만 단순히 구현하는 문제였습니다. 먼저 1,2,3,4,5,6,7,8,9,0 이 숫자들을 누를 때 그 위치를 x,y의 index를 기억합니다. 어디를 누른 지 기억한 후, y가 0이면 왼손, 2이면 오른손 중간이면 어느 엄지 손가락이 더 가까운지 계산해주면 되는 문제입니다. 즉 아래와 같은 순서로 풀 수 있습니다.

 

1. 어떤 숫자를 눌렀는지, x와 y축의 index를 기억해준다. (저는 x는 row, y는 column으로 저장해주었습니다.)

2. y=0 이면 L, y=2이면, R입니다.

3. y=1 이면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가까운 지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거리가 같다면 이 사람이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지 확인한 후, 왼손잡이라면 L, 오른손잡이라면 R입니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cstdlib>

using namespace std;

int map[3][4];
string solution(vector<int> numbers, string hand) {
    string answer = "";
    
    int xl = 3, yl = 0;
    int xr = 3, yr = 2;
    int xc = -1, yc = -1;
    for (int i = 0; i < numbers.size(); i++) {
        switch (numbers[i]) {
            case 1:
                xc = 0; yc = 0;
                break;
            case 2:
                xc = 0; yc = 1;
                break;
            case 3:
                xc = 0; yc = 2;
                break;
            case 4:
                xc = 1; yc = 0;
                break;
            case 5:
                xc = 1; yc = 1;
                break;
            case 6:
                xc = 1; yc = 2;
                break;
            case 7:
                xc = 2; yc = 0;
                break;
            case 8:
                xc = 2; yc = 1;
                break;
            case 9:
                xc = 2; yc = 2;
                break;
            case 0:
                xc = 3; yc = 1;
                break;
        } 
        
        if (yc == 0) {
            answer += 'L';
            xl = xc; yl = yc;
        } else if (yc == 2) {
            answer += 'R';
            xr = xc; yr = yc;
        } else {
            int ltemp = abs(xc - xl) + abs(yc - yl);
            int rtemp = abs(xc - xr) + abs(yc - yr);
            if (ltemp < rtemp) {
                answer += 'L';
                xl = xc; yl = yc;
            } else if (ltemp > rtemp) {
                answer += 'R';
                xr = xc; yr = yc;
            } else {
                if (hand == "left") {
                    answer += 'L';
                    xl = xc; yl = yc;
                } else {
                    answer += 'R';
                    xr = xc; yr = yc;
                }
            }
        }
    }
    return answer;
}

정말 그냥 생각나는대로 풀었더니 풀리는 문제입니다.. 이번 2021 카카오 여름 인턴십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면서 풀어본 문제인데,, 실제로 이번 20201 카카오 여름 인턴 코테에서 이런 구현문제 하나쯤은 나오더군요.. 후기를 보니 백준 실버4수준의 문제더라구요.. 어려운 알고리즘만 계속 공부하지말고 이런 구현 문제들도 당황하지 말고 풀 수 있도록 꾸준히 풀어봐야겠어요 ㅎㅎ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0775 공항  (0) 2022.01.07
[Programmers] 순위검색  (0) 2022.01.02
[Programmers] 스킬트리  (0) 2021.04.25
[Baekjoon] Contact (feat. 정규표현식)  (0) 2021.04.11
[Programmers] 구명보트  (0)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