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33)
-
[HIG] 읽기 시작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를 씁니다. 한동안 너무 바빠서 유령 블로그가 됐었네요....... 이제 새해를 맞아 다시 열심히 시작해볼라구요. 오늘은 글을 한 개 가볍게 적어볼려구 합니다 (사실 글이라기보다 그냥.. 다짐..?) 이젠 더이상 미룰 수 없다! iOS 개발을 하면서 human interface guidelines 문서를 언젠가는 읽어봐야지 생각만 하고 있었고 이것저것 일(핑계지만)때문에 시작하지도 못하고 있던 와중 새해인 2022년을 맞아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ttps://developer.apple.com/design/human-interface-guidelines/ios/overview/themes/ Themes - iOS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Apple..
2022.01.01 -
[WWDC 19] 디퍼블 데이터 소스
기존의 데이터소스가 아닌 새로운 데이터 소스, 디퍼블 데이터 소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기 나온 내용은 WWDC19 Advance in UI Data Sources에서 가져왔습니다. Advances in UI Data Sources - WWDC19 - Videos - Apple Developer Advances in UI Data Sources - WWDC19 - Videos - Apple Developer Use UI Data Sources to simplify updating your table view and collection view items using automatic diffing. High fidelity, quality... developer.apple.com 목차 1. Current ..
2021.12.30 -
[iOS] Calendar 직접 만들어보기 (2) - 무한 수평 스크롤, 주간 월간 캘린더 전환
이번 글은 무한 수평 스크롤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 이전 글에 대한 다음 글이니 보고 오시면 더 좋을 듯 해요 🤗 2021.07.08 - [🍎] - [iOS] Calendar 직접 만들어보기 (1) - 한 달 달력 무한 수평 스크롤 이 기능은 솔직히 처음 시작할 때 감도 오지 않았습니다. 아니, 사실 collectionView로 해보면 되겠지 생각했어요. 한번에 한 달만 보여지는 달력이니까 collectionView로 보여지는 월 하나를 하나의 Section안에 넣은 후, Int.max만큼의 Section을 만들고 처음 시작을 중간에서 시작하면 되겠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끝이 정해져있는 스크롤이라 무한 스크롤이 아니자나요..! 😿 그래서 이미 만들어져 있는 라이브러리는 ..
2021.07.08 -
[iOS] Calendar 직접 구현해보기 (1) - 한 달 달력
이번 프로젝트에서 달력을 개발해야 하는 일이 생겼어요. 그것도 일반 달력이 아니라 주간에서 월간으로 월간에서 주간으로 변하는 기능을 가진 달력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또한 이전 달, 다음 달로 이동하기 위해서 버튼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스크롤로 이동시키려고 합니다! wow 너무나 설레네요! ㅋㅋㅋ ㅠ FSCalendar, CVCalendar 등과 같이 이미 완성된 달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있지만 저는 UI구성에 라이브러리를 쓰는 것을 별로 선호하지 않는 관계로 직접 만들어보려구 해요 :) 먼저 지금 만들 달력의 특징은 두가지입니다. 위에 쓰긴 했지만 다시 생각해보자면 무한으로 스크롤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주간에서 월간으로 월간에서 주간으로 달력모드가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두가지를 하기 ..
2021.07.08 -
[Observables] 개념
RxSwift를 살펴보는 중인데 너무 헷갈려서 정리를 하면서 알아가보려고 합니다. 이번 정리는 문서의 글을 가져오고 또 이해한 바를 풀어쓰다보니 굉장히 줄글이 될 거 같습니다. Observable과 Observer 개념 Observer와 Observable의 관계를 먼저 알아야해서 ReactiveX 문서를 읽어봅니다. 근데 ReactiveX 문서에 가보시면 정말 여러번 쓰여진 문장이 있어요. ReactiveX에서 Observer는 Observable을 구독한다. Observable이 배출하는 하나 또는 연속된 항목에 Observer는 반응한다. 뜻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그래서 다 읽어보고 제일 이해하기 쉽게 쓰여진 문장을 아래 적어보았어요. "옵저버"에 의해 임의의 순서에 따라 병렬로 실행되고 결과는..
2021.05.14